DR
: 재해 및 위험요소에 의해 서비스나 시스템이 중단 됐을 때 정상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
DR 관련 주요 용어
DR 센터
-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전산 센터(운영 센터) 혹은 서비스에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즉각적인 서비스 복구를 위한 백업 플랜 인프라 구성
백업
- 데이터의 특정 시점에 대한 복사본을 만드는 것
복제
- 재해 발생을 대비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것
CDP (지속적 데이터 보호)
- 지속적인 백업 또는 실시간 백업
- 즉, 데이터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들의 복사본을 자동으로 즉시 저장하여 어느 시점의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백업 방식을 의미한다.
BCP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
- = 비즈니스 회복성
- 광범위한 형태로 비즈니스가 연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백업 플랜, 데이터 보호 등을 지칭한다. 따라서 재해복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데이터와 IT 서비스의 복원/복구를 포함하지만, 재해가 발생하는 도중 비즈니스 운영을 지속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절차도 포함한다.
HA (고가용성)
-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비즈니스 운영이 중단되지 않고 지속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솔루션 또는 기술의 특성을 의미한다.
- 서비스나 시스템 하나에 장애가 발생해 정상 동작하지 않으면, 다른 하나로 신속하게 페일오버 하여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
- 단, 고가용성은 손상에 대비한 보호 기능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DR 전략/계획을 대체할 수 없으니 이를 유의해야 한다.
IDC & DC
- 통신업체의 데이터센터는 주로 트래픽을 많이 사용하는 업체들이 이용해 통상적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라고 불린 반면, 나머지는 일반 데이터센터(DC)로 구분됐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실상 이러한 구분은 무의미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재해복구시스템 구분
Mirror Site
- 실시간 미러링으로 주 센터와 백업 센터 데이터를 동기화 하여 백업하는 방식
- 주 사이트와 동일한 시스템을 하나 더 설치해 운영하는 것
- 재해나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에 영향이 없는 복제 시스템을 구성한다.
- 복구 시간 : 즉시
Hot Site
- 주 센터와 백업 센터 간의 데이터만 이중화하는 방식
- 주 사이트에 버금가는 설비와 자원을 구축한 것
- 복구 시간 : 4시간 이내
Warm Site
-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백업하여 로컬이나 원격지에 해당 백업 데이터를 보관 및 소산하는 방식
- 저비용으로 백업이 가능하다.
- 복구 시간 : 수일에서 수주
Cold Site
- 주요 업무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특정 시점에 백업하는 방식
- 복구 시간 : 수주에서 수개월
현재 국내에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대부분 3등급에 해당하는 웜사이트 방식이다.
무중단 서비스를 위해서는 미러 사이트 방식을 도입해야 하지만 원본을 그대로 복제하는 방식이므로 어마어마한 비용이 든다.
웜사이트는 중요성이 높은 데이터만 복구용 데이터센터로 보내고 다른 데이터는 하루 단위로 백업한다. 저렴하게 운영할 수 있지만 복구에는 수일에서 수주가 걸린다. 현재 카카오의 상황이다.
이중화를 했느냐 안 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느 정도로 했는지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 100개의 파일이 있는데 외장 하드에 주요 파일 5개만 넣어 놓으면 이중화율은 5%에 불과하므로 이중화 조치는 안 된 것이나 다름 없다.
더불어 데이터센터와 DR센터 간의 거리도 중요하다. 천재지변과 전쟁 등을 고려한다면 두 센터 간 거리가 길어야 동시에 무력화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www.ajunews.com/view/20221016155545859
https://zdnet.co.kr/view/?no=20221017165202
'자율 학습 >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0) | 2022.11.06 |
---|---|
bxSlider에서 onclick 이벤트가 안 될 때 (0) | 2022.10.19 |
[SQL] 3달 전 게시글 중에서 조회수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조회하기 (ADD_MONTHS) (0) | 2022.10.10 |
int에 null을 담을 수 없음 (없는 데이터 조회, 즐겨찾기 구현) (0) | 2022.10.07 |
[카카오 맵 API] 데이터베이스에서 주소 데이터 받아서 지도에 마커 찍기, 키워드 검색하기 (0) | 202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