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 학습/학습

[AWS] Lightsail 시작하기

60cod 2024. 5. 16. 00:27

1. Create an instance

 

  • Lightsail 스펙
    • 지역 한국 선택
    • Zone 일단 그대로..
    • Linux/Unix 선택
    • OS only  > Ubuntu 22.04 LTS 선택
    • 메모리 1GB, 가상CPU 2개인 것 선택 (나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음.)

 

 

 


2. Lightsail 서버에 Node.js, Redis 설치

 

2-1. Package Manager로 Node.js 설치

 

Node.js Download > Package Manager > Check out other community supported package managers

 

> Debian and Ubuntu based Linux distributions > Node.js binary distributions 클릭

🔗https://nodejs.org/en/download/package-manager/all#debian-and-ubuntu-based-linux-distributions

 

 

1) 원하는 Node.js 버전 설치 명령어 복사
🔗https://github.com/nodesource/distributions

$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20.x | sudo -E bash - &&\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2) 서버 터미널 열고 명령어 실행

 

3) 잘 설치됐는지 확인

$ node -v
$ npm -v

 

 

 

2-2. Redis 설치

앞 경로는.. 계속 바뀌는 듯.. > Install Redis > Install on Ubuntu/Debian

🔗https://redis.io/docs/latest/operate/oss_and_stack/install/install-redis/install-redis-on-linux/

 

1) Redis 설치 준비

$ curl -fsSL https://packages.redis.io/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redis-archive-keyring.gpg

→ Redis 패키지 디지털 서명 다운받아 저장

 

$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redis-archive-keyring.gpg] https://packages.redis.io/deb $(lsb_release -cs)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redis.list

→ Redis 패키지 설치할 수 있는 저장소의 정보를 설정하고, 그 정보를 통해 패키지 관리자가 패키지를 어디서 가져와야 하는지 알 수 있음.

$ sudo apt-get update

→ 패키지 목록 최신 정보로 업데이트

 

2) Redis 설치

$ sudo apt-get install redis

→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Redis와 Redis에 필요한 다른 SW, 라이브러리 설치

 

 


 

cf.

Ubuntu 환경에서 Redis 서버를 실행하지 않았는데도 실행되고 있고 shutdown 시켜도 다시 살아나는 이유는 systemd 때문이다.

Redis를 설치할 때 위에서 실행한 명령어로 설치하게 되면 자동으로 systemd에 등록된다.

 

 

※ systemd 주요 기능

  1. 시스템 초기화 및 부팅 관리
  2. 서비스 관리
  3. 자원 관리 및 로깅
  4. 유닛의 의존성 관리
  5. 사용자 로그인 및 세션 관리

 

※ systemd로 redis-server 확인하기

  • ctl: systemd 제어하는 명령어 (Redis 서버를 redis-cli로 제어하듯이)
$ sudo systemctl status redis-server

$ cat /lib/systemd/system/redis-server.service

 

Loaded 경로 파일 열어보면 Restart=always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설정 때문에 redis 서버가 죽으면 자동으로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