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화 : 공통된 데이터의 형태를 묶어서 숫자화 시켜놓은 것.
공통코드 : 여러 곳에서 사용 가능한 코드화 데이터들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일종의 암호 해독표.
현업에서 많이 사용한다.
ex) 삭제 여부. 성별.
공통코드 테이블 구성
: 코드 대분류, 코드 소분류, 코드명
-> 정리되고나면 해당 내용이 변경되면 안 된다! 명칭이나 바꾸겠지만 그럴 일도 거의 없음.
코드 대분류 | 코드 소분류 | 코드명 |
0 | 0 | 대분류 분류코드 (0번에 대한 정의) |
0 | 1 | Y/N (1번에 대한 정의) |
0 | 2 | 성별 (2번에 대한 정의) |
1 | 0 | Yes |
1 | 1 | No |
2 | 0 | 남 |
2 | 1 | 여 |
대분류는 소분류를 관리하기 위한 분류 코드이며,
실질적인 데이터는 소분류로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예시)
회원 테이블
회원 번호 | 이름 | 성별 |
1 | 홍길동 | 0 |
2 | 신사임당 | 1 |
SELECT *
FROM 회원 INNER JOIN 공통코드
ON 성별 = 코드소분류
AND 코드대분류 = 2
'학원 > 수업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R 파일로 프로젝트 배포하기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 톰캣 세팅 수정) (0) | 2022.09.27 |
---|---|
[AJAX/jQuery] 공공데이터 JSON 파일을 웹 브라우저로 보이기 (시험) (1) | 2022.09.21 |
Git 시작하기 (2) | 2022.09.06 |
9월 2일 통합 구현 시험 (비동기 가계부) (0) | 2022.09.02 |
[Spring] Http 상태 코드, 에러 메시지(예외) (0) | 2022.08.31 |